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인의 발달적 변화(신체)

노인의 신체적 특성

노화: 나이가 들어 생물의 성질이나 기능의 쇠퇴

-세포의 기와 지방의 작은 알갱이 축적

-세포 및 세포핵의 부피 감소 등의 쇠퇴

① 1차적 노화(primary aging): 유전적 요인으로의 노화(평생 자연스럽게 점진적으로 쇠퇴)

② 2차적 노화(secondary aging): 환경적 요인으로의 노화(질병, 신체사용정도, 식습관, 운동 등 영향)

음식을 씹지 못해 소화력->영양흡수->근육량 -> 노쇠 촉진->사망률 높임

치아가 1개 빠질 때마다 심근경색 발병 위험은 1%, 뇌졸중이나 심부전 발병 위험은 1.5%, 사망 위험은 2%증가

체중감소: 제지방량 손실(힘줄이 오그라들고, 디스크수분손실로 척추디스크 압축)

① 뇌의 변화

-뉴런의 손실(소뇌의 뉴런 손실): 운동기능, 평형감각 조절

-시냅스 손실: 도파민의 밀도 감소로 인한 반응시간 둔화(신체 움직임 둔화, 손 떨림 증상)

-수초 감소: 신경 전달이 원하지 못함(인지 및 작업 기능 감퇴)

-편도체(부정적 사건에 대해 건설적 접근)전두엽(생각 억제 어려움) 변화

② 순환기 변화

-심장 질환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③ 호흡기 변화

-폐세포의 탄력성 상실로 폐활량 감소, 횡경막의 약화(숨이 참)

노인의 감각기능

① 시각

-수정체의 탄력성 저하

-홍채기능 저하: 빛의 양조절 기능 저하

-색채 지각 기능 감소: 수정체의 색체가 노란색으로 변화는 황화현상

-백내장: 수정체 혼탁

-황반변성: 황반 부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함 글자나 그림이 휘거나 지워진 것으로 보임

-녹내장: 안구의 압력이 높아져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이 눌리거나, 시신경의 혈류 공급의 장애(시야가 아보이고, 안압상승 시 통증)

②청각

-노인성 난청: >여 더 낮은 연령에서 2배 빠르게 진행

-타인의 말을 잘 듣지 못하여, 정서적 격리 경험(의사소통의 어려움)

③미각,후각 촉각

-미뢰 속의 미세포 감소 및 퇴화로 미각 둔화-> 맛 구별 어려움

-후각 수용기 감소로 먹는 즐거움 감소

-촉각 둔화로 화상, 상처 위험, 통증 감각 둔화

노인성 질환-1) 치매

뇌의 기능장애로 후천적 지적 능력이 상실하여 이전 수준의 일상활 유지의 어려움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 치매의 50~60%

-뇌의 구조, 화학적 퇴화

-기억력 감퇴, 언어적 퇴보, 시공간적 처리 결손 등

(기억장애, 언어장애, 방향감각 손실, 계산력 저하, 성격 및 감정 변화 중 3개 이상 해당)

-원인

뇌세포 손상으로 베타 아미로이드 팹타이드의 비정상적 단백질 축적

APOE(아포리포 단백질)유전자 변형

환경적 요인

-편도체(amycdala)와 해마(hippocampus)의 축소로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가능성 예측

정상뇌 vs 알츠하이머 뇌

노인성 질환-2)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되는 질병으로 도파민 부족으로 움직임의 장애

매년 환자가 8%증가

https://www.ytn.co.kr/_ln/0103_201606050654596745

 

'전설의 복서' 괴롭힌 파킨슨병..."조기치료 중요"

[앵커]'전설의 복서' 무하마드 알리를 30년 넘게 괴롭힌 ...

www.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