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습

애도상담의 기법들3: 상실관계의 이면 이야기 다루기-당신은 괜찮아지는 게 괜찮습니까? 사별한 이들의 상담을 위한 창의적 실습들 Robert A. Neimeyer, PhD Part 3. 상실 관계의 이면 이야기 다루기 Accessing the Back story of Relationship to Deceased ❶ 애착이론( Attachment Theory, Bowlby) ⓐ 안정된 애착: 타인을 도움을 주는 존재이며, 의존할 만한 존재로 생각, 자기 자신을 자원이 풍부하고 회복탄력성이 있다고 봄 ⓑ 불안정애착: 위태롭거나, 위험하고, 의존적이거나 강박적인 자기의존 ↳ 죽음으로 인한 애착의 중단은 ‘분리 고통(separation distress)’를 일으키는데 이는 애도 의 특징적인 증상을 촉발한다. ↳ 분리 고통에 대한 반응 유형은 애착유형에 따라 다르다.  연구1:나이와 고인관의 관계.. 더보기
애도상담의 기법들 2: 죽음의 사건 이야기에 대한 작업-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 사별한 이들의 상담을 위한 창의적 실습들 Robert A. Neimeyer, PhD Part 2. 죽음의 사건 이야기에 대한 작업 Processing the Event of the Death ❶ 치유적 존재의 힘(The Power of Presence) ⓐ 치료는 ‘우리가 누구인지’로 시작해서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 로 확장된다. 우리 자신을 그 만남에 있기 해는 것이 뒤의 모든 것에 대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다. ⓑ Empathic attunement(공감적 조율)은 반영, 타당화 그리고 변화를 위한 공간을 연다 ⓒ 의미 재구축은 진심어린 I-Thou relationship(나(상담자: 학생)-너(내담자: 선생) 관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존중, 협력, 과정 직접적인 스타일을 필요로 한다. 임상가의.. 더보기
애도상담의 기법들 1: 애도상담의 개념적인 틀 애도상담의 기법들: 사별한 이들의 상담을 위한 창의적 실습들 Robert A. Neimeyer, PhD Part 1. 애도상담의 개념적인 틀: A conceptual Frame for Grief Therapy - 인간은 이야기로 풀어낸다. 동영상 1 Darla 사례 1회기 처음 1분 아들을 잃은 내담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공허하다고 이야기 하면서, 자궁을 가리킴. 그리고 고통이 너무해서 그냥 누워 있을 수 밖에 없다. 동시에 주변에 공기처럼이라고 gesture를 취함 ┏공허함: 자궁을 가리키는 gesture(내면적 고통) ┗고통이 너무 크다: 주변에 공기처럼 gesture (외면적인 세상과 격리시키는 고통) 내담자는 은유& 신체언어를 통해 internal 과 external의 고통을 드러내고 있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