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격장애

집단상담에서 문제 집단원과 개입방법 집단상담에서 문제 집단원과 개입방법 1. 독점자 -a)집단전체의 분위기를 좌절과 분노로 변하게 한다. 독점자에게 간접적인 공격을 가할 때 문제가 악순화되고 내담자는 집단긴장과 원안이 쌓이는 것을 감지하면서도 불안도 따라 올라가고 따라서 말하려는 경향도 강박적으로 증가한다. 이런 긴장감들인 점점 응집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가져 온다. 간접적인 문제에서 벗어난 싸움, 결석, 탈락, 하위집단 형성같은 집단 붕괴의 징조들로 표현된다. -b)1)- 집단의 관점에서: 어떻게 집단은 한 집단원이 모임 전체의 짐을 짊어지도록 허용하거나 종용하는 지를 질문해야 한다. 그러한 질문은 독점자의 수동적인 희생자로 자신을 여겼던 집단원들을 놀라게 만든다. 초기반발이 다루어지면 집단원들은 독점자를 이기적으로 이용하였음을 점검하기도.. 더보기
DSM-5 와 DSM-4의 비교: DSM-5 변화 DSM-5는 DSM-4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차원적 접근을 도입했다. -심각도 평가(Severity Rating) -문화적 평가(Cultural Assessment) DSM-5에서의 주요 변화 1) 주요 우울장애 사랑하는 사람의 사망 등 으로 인한 증상은 정상적인 상실 반응으로 간주되는 DSM-4와 다르게 DSM-5은 예외 조항이 삭제 2) 조현병: DSM-4와 진단기준과 시간경과의 기준은 동일 조현병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 DSM-5에서는 문화적, 종교적 언적 배경 가지고 있을때는 병리적으로 해석하지 않음(특이한 믿음과 정신병적 믿음에 대한 구분) -편집형, 붕괴형 등의 아형이 없어짐 -차원적 접근(중증도 범위에 따라) 인지기능, 우울증, 조증 문제 에 대한 평가 ​ 3)알코올사용장애 물질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