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 썸네일형 리스트형 집단상담에서 전이와 집단리더의 투명성 집단상담에서 전이와 투명성 1. 치료집단에서 치료자에 대해 일어나는 긍정적인 전이와 부정적인 전이의 예 1) 긍정적 전이- 20번째 만나는 모임의 집단원들이 서로의 이름을 모른다는 사실을 토론하고 친밀감의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집단원들의 한집단원이 다른 집단원들의 성을 두 번이나 틀리거나 잊어버림--> 혼자만 치료자의 주목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을 표현 -자신을 괴롭히는 주요한 문제를 목록을 적어 모임에 가져와서 치료자가 그것을 알아채고 그에게 그것을 읽으라고 말해 주기를 기다림 - 치료자의 말은 실제보다 무게있고 지혜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집단에서 일어나는 모든 진전은 치료자에게로 그 원인을 돌린다. - 실수 , 과실, 불참에도 치료자가 집단의 이익을 위하여 집단을 촉진하고 자극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고의.. 더보기 집단상담에서 문제 집단원과 개입방법 집단상담에서 문제 집단원과 개입방법 1. 독점자 -a)집단전체의 분위기를 좌절과 분노로 변하게 한다. 독점자에게 간접적인 공격을 가할 때 문제가 악순화되고 내담자는 집단긴장과 원안이 쌓이는 것을 감지하면서도 불안도 따라 올라가고 따라서 말하려는 경향도 강박적으로 증가한다. 이런 긴장감들인 점점 응집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가져 온다. 간접적인 문제에서 벗어난 싸움, 결석, 탈락, 하위집단 형성같은 집단 붕괴의 징조들로 표현된다. -b)1)- 집단의 관점에서: 어떻게 집단은 한 집단원이 모임 전체의 짐을 짊어지도록 허용하거나 종용하는 지를 질문해야 한다. 그러한 질문은 독점자의 수동적인 희생자로 자신을 여겼던 집단원들을 놀라게 만든다. 초기반발이 다루어지면 집단원들은 독점자를 이기적으로 이용하였음을 점검하기도.. 더보기 집단상담 마지막 단계 집단상담 마지막 단계 1. 종결에서 반드시 다루어 주어야 할 것들 -분리감정 다루기: 떠나는 집단원들이 자신의 반응을 표현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들은 분리에 대해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품을 수 있다. 집단원들에게 현재 그들이 느끼는 일체감은 집단활동을 열심히 한 결과라는 사실을 다시금 상기시켜줘야 한다. 마무리와 상실감과 관련된 개인적 한계를 반드시 깨달아야 한다.(Mangione) - 집단상담의 초기 지각과 후기 지각 비교: 마지막 시간에 집단원들이 주로 할 일은 상담을 하는 동안 일어났던 일과 자기 자신 및 다른 사람에 대해 깨달은 사실을 말로 표현하게 한다. - 미해결문제 다루기: 아직 자신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한 집단원들에게는 그 문제를 토론할 수 있도록 격려해 줘야 한다. 상담기간이 얼마 .. 더보기 집단상담의 작업단계 집단상담의 작업단계 1. 집단원의 두려움을 다루기 위해 각 단계별 접근 1) 초기단계: 자신이 다른 사람들로 부터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두려움과 그 두려움이 집단내에서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좀 더 쉽게 털어 놓도록 격려하기 위해서 개입을 한다 - 다른 집단원들에게 그들이 가지고 있는 불안감, 특히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볼까에 대한 두려움을 털어 놓도록 한다. -탐색해 보고 싶은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집단원들이 자신들의 두려움을 두려움에 대해 언급한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특별한 진행방식 없이 그저 자신이 느끼는 두려움을 모두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2) 과도기단계: 집단원들이 자신에 대해 비판적일 것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했다면 그 판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미 자신을 억제해왔음을.. 더보기 집당상담의 초기 단계: 특징 및 상담자의 개입 집단상담의 초기 단계 1. 초기단계 집단의 특성 - 참가자들은 분위기를 시험하며 친숙해진다. - 집단원들은 무엇이 기대되는지,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또 어떻게 참여하는 지를 배운다. - 모험적인 행동은 상대적으로 적고, 탐색도 매우 제한적이다. - 집단원들이 그들이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자 할 때 집단의 응집력과 신뢰가 점차 형성된다. - 집단원들은 자신이 집단에서 받아들여지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집단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가기 시작한다. - 집단원들이 집단에서 모든 감정이 받아들여지는지 시험해 보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 핵심주제는 신뢰와 불신의 문제이다. - 침묵과 어색함이 느껴지는 순간이 종종있고, 이런 순간에 참가자들은 누군가가 방향을 제시해 주기를.. 더보기 집단상담: 집단응집력이란?(얄롬의 집단상담영상) 오랜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쓴 실존주의상담자 '얄롬' "집단상담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제 집단상담을 진행하기 위해 집단 응집력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필요하다." https://youtu.be/PwnfWMNbg48 얄롬과 최신 집단이론과 실제 집단응집력 개인치료와 마찬가지로 집단치료에 대한 효과에 관한 연구증거는 너무나 확실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집단치료의 필요조건들을 이해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즉, 무엇이 성공적인 치료에 기여하는가? 라는 질문에 효과적인 치료결과를 위한 필수조건들 중에 하나가 적절한 치료적 관계이다. 집단치료에서 개인치료의 환자-치료자와의 관계가 확대 되어 집단의 다른 집단원들과의 관계 그리고 집단 전체에 대한 환자와의 관계를 모두 포함한다. 1. 응집력의.. 더보기 집단상담: 집단원의 전이와 투명성, 문제 집단원 https://www.youtube.com/watch?v=crgvtIZqs0k&feature=youtu.be 집단원의 전이와 치료자의 투명성(자기 개방) 1. 치료집단에서 치료자에 대해 일어나는 긍정적인 전이와 부정적인 전이의 예 1) 긍정적 전이- 20번째 만나는 모임의 집단원들이 서로의 이름을 모른다는 사실을 토론하고 친밀감의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집단원들의 한 집단원이 다른 집단원들의 성을 두 번이나 틀리거나 잊어버림--> 혼자만 치료자의 주목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을 표현 -자신을 괴롭히는 주요한 문제를 목록을 적어 모임에 가져와서 치료자가 그것을 알아채러 그에게 그것을 읽으라고 말해 주기를 기다림 - 치료자의 말은 실제보다 무게있고 지혜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집단에서 일어나는 모든 진전은 치료자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