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진단을 위해서는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야기하고 초기 발달 시기에 나타나며(사회적 요구가 개인의 제한된 능력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완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사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 결함 요함
장애는 다음의 모든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 결함으로 특징되어짐
집, 학교, 지역사회 등에서 주양육자와 선생님이 관찰한 아동의 사회적 관심과 교우관계, 일상에서의 사회적 의사소통, 상동행동의 유무에 대한 보고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직접 관찰 및 면담 시에는 충분한 자극을 주어 아동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최대치를 이끌어 내어 보고, 상동 행동을 유발시켜 볼 수 있다
자폐스펙트럽 장애는 3세이전에 발병하기 때문에, 만 5세 당시의 인지 기능 수준과 언어발달 수준이 아이들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되도록 빨리 발견하고, 꾸준히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즉, 증상들의 발달수준에 따라 치료계획이 달라질 수 있다.
1. 사회적-감정적 상호성 결함: 누군가를 만날 때, 자신을 어떻게 소개합니까? 다른 사람들을 맞이하는 것이 어렵습니까? 당신의 관심사,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어렵습니까? 다른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또는 그들이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 드는 것이 싫습니까?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결함: 대개 언어저&비언어적 의사소통 불완전한 통합, 비정상적인 눈 맞춤과 몸짓,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이해와 사용 결함, 얼굴 표정 또는 몸짓의 전반적 결핍으로 면담자에게 관찰
참고: 12개월까지 옹알이가 없다/ 12개월까지 제스처(예:가리키기,“안녕”할 때 손 흔들기)가 없다
/ 16개월까지 단어가 없다/24개월까지 2개의 단어로 된 자발적인(반향어는 제외) 어구가 없다.
나이를 불문하고 언어 혹은 사회적 기술의 상실이 있다
3. 관계 발전과 유지의 결함: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가 어렵습니까? 당신을 둘러싼 주변 상황이 변할 때, 그에 반응하여 당신의 행동을 조절하가기 어렵습니까?
추가적으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나 흥미, 활동양상이 다음 2가지 이상 나타난다.
1) 단순 운동 상동증(stereotypy), 반향어(echolalia), 반복적 물건 사용, 또는 특이한 문구와 같은 상동증적이거나 반복적인말하기, 운동성 동작 또는 물건사용
*상동증: 같은 행동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
*반향어: 반복적으로 말하는 행동으로, 전에 보았던 영상이나 이전에 들었던 노래나 대화 등에 나온 단어와 소리들을 메아리처럼 반복하는 것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과도한 집착 또는 벼화의 회피: 특별한 일과나 행동 양상이 있습니까? 이러한 일과를 따를 수 없거나 이러한 행동을 할 수 없을때에느 어떻게 됩니까? 변화를 완강히 거부합니까?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제한된 흥미: 아주 적은 것들에 대해서만 강하게 집중하거나 매우 흥미를 느낍니까?
4) 감각 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반응: 고통스러운 것들을 어떻게 경험합니까? 뜨거운 것들은? 차가운 것들은? 당신이 강하게 반응하는 특정한 소리, 촉감 또는 냄새가 있습니까? 빛이나 회전하는 것들에 매료됩니까?
S군은 세아이 중 막내로 16세 소년으로 오랫동안 이상하고 지연된 발달력을 보이고 있었다. S군은 정신평가 장면에서도 평가자와 눈마주침이 별로 없었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등의 이해하지 못할 사회적 관계를 보였다. 부모에 따르면, S군과 대화를 지속하기가 힘들고, 특정하게 재미있었던 tv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하려고 하고, 실오라기모으는 것에만 관심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단조로운 말을 반복하였고, 흥분이 되면 전형적으로 틀에 박힌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였다. 예를 들어 의자에 앉기전 항상 의자 주변을 세바퀴 돌고 앉는 행동을 하였다. 임신과 출산과정에서 모두 정상이였으며, 어머니에 의하면 유아기에 요구하는 것이 없고 비교적 조용했으며 생의 몇 주 때부터 정상적인 발달과 좀다른 양상을 보였고, 다른 두형제 들과도 상호작용하는데 전혀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언어발달이 지연되어서 청력검사를 해보았지만, 청력은 정상이였다. 음식을 요구 하기 위한 단어 두가지만을 사용했으며, 매우 단조로운 음성으로 말을 하였다. 일상적인 유형에서 변화가 오면 극도로 동요하였다. 이러한 평가 결과 유아기의 3세에 자폐증 진단을 받았다. |
cf) DSM4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를 (1) 자폐장애 Autistic disorder(Autism),(2) 아스퍼거 장애 Asperger’s disorder,(3) 아동기 붕괴성장애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4) 레트 장애 Rett’s disorder(5) 달리 특정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not otherwise specified 의 5가지 유사하지만 다른 양상을 보이는 장애로 구분하였음
아스퍼거 장애: 자폐증보다 다소 늦게 발병하거나 늑게 발견,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가 있지만, 지능은 정상이고 언어장애가 없는 것이 자폐증과 차이(전반적 인어발달 지연, 인지발달 장애는 없음)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 > 이상심리 및 정신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5 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5: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특정 공포증, 공황장애,범불안 장애 (0) | 2019.10.22 |
---|---|
DSM-5진단을 위한 선별 질문 4: 신경발달장애 ADHD (0) | 2019.10.21 |
DSM-5 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2: 양극성 장애 선별 질문(Bipolar and Related Disorder) (0) | 2019.10.19 |
DSM-5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1: 우울장애(Depress Disoder)진단을 위한 선별 질문 (0) | 2019.10.18 |
발달정신병리: 품행장애는 어떻게 발달하는 걸까요? 그리고 개입은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요?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