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현장에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만나는 경우나 혹은 내담자가 우울해 보이는 경우 진단을 내리기 위한 질문이 아니라, 내담자의 증상 및 심각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병원치료를 권면하기 위해 선별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내담자가 선별 질문중 하나에 그렇다고 대답할 경우, 여러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면담을 제공하면서 정확한 정신장애 진단을 하려고 한다.
진단평가를 위한 포켓가이드. Abranam M. Nussbaum 저. 권준수 역 학지사
우울장애 진단을 위한 선별 질문
1. 당신은 슬프거나, 울적하거나 우울하거나 과민한 기분을 경험한적 이 있습니까?
☞ ■ yes
2. 그 기간이 적어도 2주간 지속되었나요?
☞■ yes
☞ 주요우울 장애 진단 기준으로 진행
2주간 다음 증상가운데 5가지 이상 있고, 증상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우울한 기분이거나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무쾌감증)을 요한다
1) 하루 중 대부분 지속되는 우울기분(이미 평가)
2) 거의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해 흥미나 즐거움의 뚜렷한 저하(이미 평가)
3) 체중의 감소나 증가: 그 기간에 식욕의 어떠한 변화가 있었나요? 체중의 어떠한 변하가 있었습니까?
(식이요법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1개월에 체중 5%이상 변화)
4) 불면이나 과다수면: 그 기간에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얼마나 잘 잤습니까?
5) 정신운동초조나 지연: 그 기간에 다른 누군가가 당신에게 평소보다 움직임이 빨려졌다거나 느려졌다고 했습니까?
(단순 안절부절못함이나 처짐의 주관적 느낌 뿐아니라 다른 사람에 의해서도 관찰)
6) 피로나 활력의 상실: 그기간에 당신의 에너지 수준은 어땠습니까? 누군가가 당신에게 평소보다 지쳐 보인다거나 기운이 적어 보인다는 말을 하셨습니까?
7) 무가치감 또는 과도한 죄책감: 그 기간에 현재 또는 과거의 일이나 대인관계에 대해서 엄청난 후회나 죄책감을 느꼈습니까?
8) 집중력 감소: 그 기간에 결정을 하거나 평소처럼 집중하기가 어려웠습니까?
(주관적 설명이나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관찰)
9)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반복생각: 그 기간에 평소보다 더 많이 죽음에 대해서 생각했습니까? 자해나 자살을 생각한적 있습니까?
* 제외기준: 조증삽화나 경조증 삽화가 한번이라도 있거나, 주요우울 삽화가 물질적 생리영향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것
주요우울 삽화가 조현정동장애, 조현병, 조현양성장애, 망상장애, 달리 명시도니 또는 명시되지 않은 조현병 스팩트럼 및 기타장애로 더 잘 설명되는 경우
*명시할 것: 불안증, 혼재성, 계절성 등의 동반, 경과와 증상의 심각도(단일, 재발성, 부분관해, 완전 관해, 경도, 중증도, 고도, 정신병적 양상동반, 명시되지 않은 경우)
*추가 진단
1)지속성 우울장애( 적어도 2년 동안 우울 기분 또는 무쾌감증을 경험하고 임상적 현저한 고통, 손해 또한 주요우울 삽화 증상 2가지 이상 동반)
2)월결전 증후군( 여성이 월경전 1주전 기분변화가 시작하여 수일안에 호전되며, 월경이 끝난 주에 경미해짐)
☞ ▩ no: 6세 이상 아동이 No 라고 하면 과민성 선별질문으로
※아동을 위한 과민성 선별질문:
2-1. 화를 내거나, 소리지르거나, 또는 행동화(acting out)를 한적이 있나요?
☞ ■ yes
2-2. 매일 또는 격일로 화를 내나요? 화를 내거나 소리 지르는 것이 가정이나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나요?
→ ■ yes ☞ 파괴적 기분조절 부전쟁애로 진행
포함기준:
1) 흔한 스트레스원에 대한 반응으로 고도의 재발성 분노발작이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3회이상, 최소 1년 이상 발생
2) 분노발작은 가정이나학교와 같이 두 군데 이상 환경에서 발생, 최소 한군데에서도 고도의 증상을 보이며 10세이전 시작, 다음 3가지 특성
- 분노 또는 행동적 발작: 화가났을때 무슨 일이 생기나요? 소리를 지르나요?? 다른 사람을 치거나 주먹질 하거나 깨물거나 또는 때리나요?
- 비정상적인 반응: 화가났을때 무엇이 당신을 화나게 했는지 알고 있나요? 어떤 것이 그렇게 당신이 소리지르고 때리게 할만큼 신경이 쓰이나요?
- 분노발작 사이에 지속으로 과민한 또는 화가 난 기분: 당신이 소리지르거나 화가 나지 않았을때, 내면의 느낌은 어떤가요? 대개 불만이거나 화가 나고 과민하거나 또는 슬픔 느낌이나요?
→ ▩ no ☞ 보호자로 부터 부수적 정보를 얻거나 다른 진단분류로 진행
3주전 첫째 아이를 출산한 30세 여성. 출산한 다음 이 여성은 기분이 좀 가라 앉은 느낌이 들었고, 간호사는" 그런 우울감은 출산후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 감정이니 곧 좋아 질거라고 이야기 했다." 이틀 뒤 퇴원을하여 2주가 지난 뒤 여성을 피로감이 증가했고, 잠자는 것도 힘들고 식욕도 감소했다. 남편은 " 힘내. 당신에게 사랑스런 아이가 있잖아"라고 이야기 하며 옆에서 계속 신경을 써 주었지만, 여성은 스스로 자책하게 되었다. 매일 활력이 떨어지고, 아침마다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힘들다고 느껴졌고, 남편과 여성의 어머니는 걱정하기 시작했다. |
출처: DSM-5 진단평가를 위한 포켓가이드. branam M. Nussbaum 저. 권준수 역. 학지사
참고: 정신장애 사례연구. 김청성 저. 학지사.참고: 정신장애 사례연구. 김청성 저. 학지사.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 > 이상심리 및 정신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5 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3:신경발달장애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0) | 2019.10.20 |
---|---|
DSM-5 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2: 양극성 장애 선별 질문(Bipolar and Related Disorder) (0) | 2019.10.19 |
발달정신병리: 품행장애는 어떻게 발달하는 걸까요? 그리고 개입은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요? (0) | 2019.10.17 |
발달정신병리: 품행장애-품행장애는 무엇인가?(적대적 반항 장애) (0) | 2019.10.16 |
발달정신병리: ADHD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장애 (0) | 201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