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집단상담: 집단응집력이란?(얄롬의 집단상담영상) 오랜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쓴 실존주의상담자 '얄롬' "집단상담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제 집단상담을 진행하기 위해 집단 응집력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필요하다." https://youtu.be/PwnfWMNbg48 얄롬과 최신 집단이론과 실제 집단응집력 개인치료와 마찬가지로 집단치료에 대한 효과에 관한 연구증거는 너무나 확실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집단치료의 필요조건들을 이해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즉, 무엇이 성공적인 치료에 기여하는가? 라는 질문에 효과적인 치료결과를 위한 필수조건들 중에 하나가 적절한 치료적 관계이다. 집단치료에서 개인치료의 환자-치료자와의 관계가 확대 되어 집단의 다른 집단원들과의 관계 그리고 집단 전체에 대한 환자와의 관계를 모두 포함한다. 1. 응집력의.. 더보기
사례개념화: 내담자의 변화전략 세우기 내담자의 변화전략 세우기 문제 진단-사례개념화-상담목표설정-상담계획수립 1. 문제 진단과 내담자 평가 1) 내담자 평가(client assessment)의 정의 -내담자의 특성과 문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어 내는 제반 활동 - 내담자의 전반적인 기능수준을 파악하고 내담자의 성장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적, 외적 자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활동 -내담자 개인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 2) 내담자 평가 영역 -현재 내담자 기능수준 :학업, 진로, 또래 관계,가족관계 등 생활 여러 영역에서 어느 정도 잘 적응하는가? -문제발생 전 기능수준 :문제가 발생하기 전 내담자의 여러 영역에서 어느 정도 잘 적응했는가? -문제 발생과 유제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 문제해결에 필요한 내적자원.. 더보기
집단상담: 집단원의 전이와 투명성, 문제 집단원 https://www.youtube.com/watch?v=crgvtIZqs0k&feature=youtu.be 집단원의 전이와 치료자의 투명성(자기 개방) 1. 치료집단에서 치료자에 대해 일어나는 긍정적인 전이와 부정적인 전이의 예 1) 긍정적 전이- 20번째 만나는 모임의 집단원들이 서로의 이름을 모른다는 사실을 토론하고 친밀감의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집단원들의 한 집단원이 다른 집단원들의 성을 두 번이나 틀리거나 잊어버림--> 혼자만 치료자의 주목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을 표현 -자신을 괴롭히는 주요한 문제를 목록을 적어 모임에 가져와서 치료자가 그것을 알아채러 그에게 그것을 읽으라고 말해 주기를 기다림 - 치료자의 말은 실제보다 무게있고 지혜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집단에서 일어나는 모든 진전은 치료자에.. 더보기
상담의 실제를 위한 책 추천(초보상담자 및 교육자) 상담을 하는 사람으로서 상담의 실제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습하고 익히는 것은 중요하다. 한국 상담의 실정을 경험해 본 사람으로서 대학원 석사를 졸업한다고 해도 상담을 실제로 할 수 없는 안타까운 구조인 것같다. 대학원 과정 이외에 학회를 통해 수련을 추가적으로 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크게 한국상담심리학회와 한국상담학회가 주축으로 해서 상담사 수련을 자체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련생들이 굉장한 경제적인 댓가를 지불하고 있다. 기둥 뿌리가 뽑힐 지경이다. ​ 대학원 과정에서 이론 수업을 받더라도 사설기관에서 모집하는 수련생으로 들어가거나 대학상담센터내 수련상담원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체계적으로 상담실제 과정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 나 또한 사설기관 및 여러 수.. 더보기
[공유]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필기: 상담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2019학년도 상담학회 1급 필기시험 결과가 8. 26일 오후 5시 이후로 발표 아슬아슬하게 다행히 통과되었습니다. ^^ 참고로 가장 고득점 88점을 받은 과목 상담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를 요약하였습니다. 빨간 글씨는 기억을 더듬어 출제되었던 영역 표시해보았습니다 ​ 책을 읽으면서, 사실, 이책 의 구성이 여러 분이 장을 나눠서 지필하셨기 때문에 독자로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의 흐름과 각 장의 깊이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퍼바이저로서의 자세와 윤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을'인 수퍼바이지들이 상당한 부분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부분과 수퍼바이저와-수퍼바이지 관계에서 비윤리적인 것이 관행되고 있는 현실들을 보면서 각성하게 되었습니다. ​ ​ ☆다운 받으실 .. 더보기
[공유]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1급필기:고급상담연구방법론 2019년 한국상담학회 1급 필기시험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장소는 서울 공업고등학교 진행되었다. 총 6개 과목: 상담철학과 윤리, 고급상담 이론과 실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심리평가와 진단, 고급상담연구방법론, 상담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2019. 8. 17. 한국상담학회 1급 필기시험 대비 총 6개 과목중 저는 전략적으로 상담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고급상담연구방법론은 상담학회에서 발간한 책으로 공부하였습니다. 상담연구방법론(학지사) 책을 이틀정도 워드로 정리하면서 한번 읽었습니다. 정리한 내용을 필기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공유합니다. 빨간 글씨는 시험기억을 더듬어 출제 되었던 내용 체크해두었습니다. 책을 읽으며 러프하게 요약 정리하고, 빠진 부분들은 그림을 캡쳐해서 붙여 넣었습니다. 시험친 소감.. 더보기
환영합니다! 마음과 몸 건강한 삶을 꿈꿉니다. 지금까지 공부하고 경험한 것을 공유하고 함께 나눠가는 공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