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을 하는 사람으로서
상담의 실제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습하고 익히는 것은 중요하다.
한국 상담의 실정을 경험해 본 사람으로서
대학원 석사를 졸업한다고 해도 상담을 실제로 할 수 없는 안타까운 구조인 것같다.
대학원 과정 이외에 학회를 통해 수련을 추가적으로 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크게 한국상담심리학회와 한국상담학회가 주축으로 해서
상담사 수련을 자체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련생들이 굉장한 경제적인 댓가를 지불하고 있다. 기둥 뿌리가 뽑힐 지경이다.

대학원 과정에서 이론 수업을 받더라도
사설기관에서 모집하는 수련생으로 들어가거나
대학상담센터내 수련상담원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체계적으로 상담실제 과정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나 또한 사설기관 및 여러 수련과정에서 체계적인 상담실제 교육을 받아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대학상담센터 내 수련상담원들의 교육을 몇 년간 담당해 오면서,
센터의 여러 사업과 업무상 미안하지만, 수련상담원에게 체계적으로
상담실제 교육을 제공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그러던 중 상담의 실제: 과정과 기법, 이규미 저(학지사)이라는 아주 유익한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상담실제에 대한 유익한 내용이 꼼꼼하게 담겨져 있다.
무엇보다 반가운 것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아, 잘 읽혀진다.
(개인적으로 비번역서, 얇은 책, 명확한 설명을 선호합니다.)
기본적인 면접기술에서 부터 초기-중간-종결과정에 대해 구체적이면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굉장히 애를 쓰신 것 같다.
그리고 충분한 예, 실습을 할 수 있는 자료까지 총 망라해놓으셨다. 개인적으로 이규미선생님을 모르지만, 감사드린다.
최근 대학 상담이론 수업에서 부교재로 사용했었는데
초보상담자 및 교육을 담당하는 시니어 상담자들에게는 꼭 추천 해보고싶다.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 > 상담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담자의 사고와 감정 탐색을 위한 기술 (0) | 2019.10.30 |
---|---|
애도상담의 기법들3: 상실관계의 이면 이야기 다루기-당신은 괜찮아지는 게 괜찮습니까? (0) | 2019.10.10 |
애도상담의 기법들 2: 죽음의 사건 이야기에 대한 작업-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 (0) | 2019.10.09 |
애도상담의 기법들 1: 애도상담의 개념적인 틀 (0) | 2019.10.08 |
사례개념화: 내담자의 변화전략 세우기 (0) | 201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