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상담실제

불명확하게 느껴진 감각을 위한 경험적 초점화 불명확하게 느껴진 감각을 위한 경험적 초점화 Experiential focusing for an unclear felt sense 경험적 초점화의 핵심가정: 상징화하려는 시도안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험적 "느껴진 감각(felt sense)"이 있다는 것이다. 느껴진 감각(felt sense)이란? 내적인 참여와 경험적 과정으로 측정 가능한 함축적인(무조건적인)감정도식으로부터 나왔다. 함축적인 높은 수준의 의미이며, 생각, 감정, 지각, 채내 행동과 맥락을 포함한 어떤 감각이다. 경험적 과정에 내담자의 2가지 과제: 1)내적 상상의 "작업공간(work space)" 개발 시키는 능력 2)내적으로 느껴진 감각(felt sense)에 참여하는 능력 The "FOCUSING ATTITUDE"초점화 태도 Lei.. 더보기
정신분석적 감수성(정신분석적 심리치료 2) 제2장 정신분석적 감수성 1. 정신분석적 치료에서 호기심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무의식적인 사고, 감정, 심상, 충동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에 대한 호기심은 치료자를 치료에 전념하게 만드는 동력인 동시에 내담자가 자신을 관찰하고 공개하는 용기를 갖게 하는 원천이다. 2. 경외심이란 무엇에 대한 경외심을 의미하는 것인가? 경외심을 가질 때 그것의 치료적 효과는 무엇인가? 겸손함 , 우주의 작은 점에 불과하며 우리는 우리의 자각과 통제 밖에 있는 무수한 힘들에 의해 휘둘려지는 존재라는 인식과 내재젹으로 연관되어 있다. 알 수 없는 거대한 존재앞에서 자신이 매우 작은 존재임을 기꺼이 느껴보려는 자발성과도 관련이 있다. 수용적이며 기꺼이 감동받고자 하는 자세일 뿐아니라 직접체험하는 것이다. .. 더보기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제 1장 정신분석적 치료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1. 정신분석적 치료에서 '정직'과 '솔직함'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에 대해 정직하고 솔직해야 한다는 것인가? 우리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인식하기 힘들거나 고통스러운 것을 인정하는 능력을 향상시미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즉 무의식적인 내용들에 대해 도덕적 결함 또는 육욕, 탐욕 경쟁 그리고 공격성에 관한 것들을 드러낸다. 솔직함에 대한 본능적 추구와 위선적인 무화간에 갈등이 있음을 인정되어야 한다. 솔직해 지고자 하는 행위는 새로운 건강의 출발점이고 정신분석의 정립을 위해서는 정선분석이 하나의 치료적 활동 분아니라 현대 문학과 지성인들이 추구하는 해방적 각성의 노력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각별한 솔직함이 필요하다. 2. 저자는 정신.. 더보기
내담자의 탐색 단계에서 어려움과 대처방법 탐색 단계 실행의 어려움들 1. 부적절한 집중과 경청: 몇몇 요소가 내담자에게 충분한 집중과 경청을 하기 위한 상담자의 기술에 방해가 될 수 있다. 2. 너무 많은 폐쇄형 질문하기: 문제의 모든 세부사항을 알아야 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종종 너무 많은 폐쇄형 질문을 한다. 3. 너무 많이 말하기: 상담자가 불안해하거나 내담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를 원하거나, 평상시에도 말하기를 좋아한다면 말을 많이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내담자가 말을 많이 하고 내담자는 많이 못하는 상황이라면, 이 때문에 문제가 탐색되지 못한다. 4. 침묵을 견디지 못하는 것: 내담자가 지루해하거나 근심스럽거나 비판적이거나 정체되어 있으리라는 공포 때문에 회기에서의 침묵을 채우려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5. 자기개방강요하기: 자기 자신.. 더보기
내담자의 사고와 감정 탐색을 위한 기술 사고탐색을 위한 기술 1. 재진술 내담자가 종종 자신의 문제로 혼란스럽고, 갈등하고, 압도당할 때, 정확한 재진술은 자신의 문제가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들리는지 들을 수 있게 한다. 내담자가 스스로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써 그들은 자신의 생각을 평가할 수 있고. 잊었던 것을 추가할 수 있으며 스스로 말한 것에 대해 실제로 믿는지 생각해 보면 더 깊은 단계에서 문제에 관해 상각해 보게 된다. 다른 누군가가 진술을 반복하면 종종 다르게 들리기 때문에 재진술은 내담자에게 자신이 실제 생각하는 것을 숙고하게 한다. 그리고 내담자의 문제를 명확히 하고, 문제의 특정한 측면을 좀 더 사려 깊게 탐색하며, 이전에는 고려하지 못했던 측면에 관해 생각하게 해준다. 들은 것을 말로 옮기고 상담과정.. 더보기
애도상담의 기법들3: 상실관계의 이면 이야기 다루기-당신은 괜찮아지는 게 괜찮습니까? 사별한 이들의 상담을 위한 창의적 실습들 Robert A. Neimeyer, PhD Part 3. 상실 관계의 이면 이야기 다루기 Accessing the Back story of Relationship to Deceased ❶ 애착이론( Attachment Theory, Bowlby) ⓐ 안정된 애착: 타인을 도움을 주는 존재이며, 의존할 만한 존재로 생각, 자기 자신을 자원이 풍부하고 회복탄력성이 있다고 봄 ⓑ 불안정애착: 위태롭거나, 위험하고, 의존적이거나 강박적인 자기의존 ↳ 죽음으로 인한 애착의 중단은 ‘분리 고통(separation distress)’를 일으키는데 이는 애도 의 특징적인 증상을 촉발한다. ↳ 분리 고통에 대한 반응 유형은 애착유형에 따라 다르다.  연구1:나이와 고인관의 관계.. 더보기
애도상담의 기법들 2: 죽음의 사건 이야기에 대한 작업-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 사별한 이들의 상담을 위한 창의적 실습들 Robert A. Neimeyer, PhD Part 2. 죽음의 사건 이야기에 대한 작업 Processing the Event of the Death ❶ 치유적 존재의 힘(The Power of Presence) ⓐ 치료는 ‘우리가 누구인지’로 시작해서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 로 확장된다. 우리 자신을 그 만남에 있기 해는 것이 뒤의 모든 것에 대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다. ⓑ Empathic attunement(공감적 조율)은 반영, 타당화 그리고 변화를 위한 공간을 연다 ⓒ 의미 재구축은 진심어린 I-Thou relationship(나(상담자: 학생)-너(내담자: 선생) 관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존중, 협력, 과정 직접적인 스타일을 필요로 한다. 임상가의.. 더보기
애도상담의 기법들 1: 애도상담의 개념적인 틀 애도상담의 기법들: 사별한 이들의 상담을 위한 창의적 실습들 Robert A. Neimeyer, PhD Part 1. 애도상담의 개념적인 틀: A conceptual Frame for Grief Therapy - 인간은 이야기로 풀어낸다. 동영상 1 Darla 사례 1회기 처음 1분 아들을 잃은 내담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공허하다고 이야기 하면서, 자궁을 가리킴. 그리고 고통이 너무해서 그냥 누워 있을 수 밖에 없다. 동시에 주변에 공기처럼이라고 gesture를 취함 ┏공허함: 자궁을 가리키는 gesture(내면적 고통) ┗고통이 너무 크다: 주변에 공기처럼 gesture (외면적인 세상과 격리시키는 고통) 내담자는 은유& 신체언어를 통해 internal 과 external의 고통을 드러내고 있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