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단계 실행의 어려움들
1. 부적절한 집중과 경청: 몇몇 요소가 내담자에게 충분한 집중과 경청을 하기 위한 상담자의 기술에 방해가 될 수 있다.
2. 너무 많은 폐쇄형 질문하기: 문제의 모든 세부사항을 알아야 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종종 너무 많은 폐쇄형 질문을 한다.
3. 너무 많이 말하기: 상담자가 불안해하거나 내담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를 원하거나, 평상시에도 말하기를 좋아한다면 말을 많이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내담자가 말을 많이 하고 내담자는 많이 못하는 상황이라면, 이 때문에 문제가 탐색되지 못한다.
4. 침묵을 견디지 못하는 것: 내담자가 지루해하거나 근심스럽거나 비판적이거나 정체되어 있으리라는 공포 때문에 회기에서의 침묵을 채우려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5. 자기개방강요하기: 자기 자신의 개방을 너무 많이 하려는 것이다. 내담자의 문제가 종종상담자의 문제와 유사하기 때문에 초보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 경험을 나누고 싶어 한다.
6. 너무 많은(혹은 너무 이른)조언하기: 초보상담자는 종종 조언을 하는데 몰두한다. 답을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내담자를 구해 주어야 하고 완벽한 해결책을 가져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낀다.
7. 단짝 친구되기: 상담자가 아니라 단짝친구처럼 행동하는 것은 어긋난것이다 .상담자의 임무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객관성을 갖고 최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명확하게 정의된 관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8. 격렬한 감정표현 저지하기: 내담자가 절망, 격렬한 슬픔 혹은 강한 분노와 같은 강렬한 감정을 표현할 때 자주 불편함을 느낀다. 초보상담자 자신도 부정적인 감정을 갖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경향 때문에 내담자의 부정적인 감정 표현에 불편해 할 수 있다.
9 분리와 공포감 경험하기: 자신의 행동에 대해 걱정하기 때문에 현재 상담장면 안에서 충분히 내담자와 상호작용하지 못하고, 자신의 신체밖에서 자신과 분리 된 상태로 상담자 역할안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거리를 두고 관찰하는 기분을 느낀다.
10. 상담자로서의 능력에 대해 낙담하기: 각각의 기술과 행동하는 모든 것을 관찰하는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행동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점점 나빠진다고 느낀다.
탐색단계 어려움을 대처하기 위해 방법
1. 역할 모델 보기- 상담회기에 있는 숙련된 상담자를 관찰하는 것은 적절하게 상용되는 기술을 관찰하기 위해 훌륭한 방법이다.(생생한 학습)
2. 상상하기-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집중행동과 상담기술을 사용하는 자기 자신을 상상할 수 있다.
3. 역할 연기하기- 내담자와 회기를 진행하기 전에 상담자는 특정한 상담기술을 사용하는 역할 연기를 할 수 있다. 역할 연기를 하는 것을 통해 상담자는 편안한 속도로 기술을 더 잘 연습 할 수 있다.
4. 기술 연습- 불안에 대처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연습이다. 더 많은 상담자가 자신이 무엇을 잘 했는지,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주의하며 연습함으로써 상담회기에서 더 편안하고 잘 할 수 있게 된다.
5. 깊은 심호흡하기-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는 동안 불안에 대처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흉부 위에서 짧은 호흡을 하는 대신 횡경막 아래까지 깊이 있게 숨을 쉬는 것이다. (긴장을 풀어주고. 생각할 시간을 준다.)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 > 상담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적 감수성(정신분석적 심리치료 2) (0) | 2019.11.01 |
---|---|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0) | 2019.10.31 |
내담자의 사고와 감정 탐색을 위한 기술 (0) | 2019.10.30 |
애도상담의 기법들3: 상실관계의 이면 이야기 다루기-당신은 괜찮아지는 게 괜찮습니까? (0) | 2019.10.10 |
애도상담의 기법들 2: 죽음의 사건 이야기에 대한 작업-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 (0) | 201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