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 장애
(Ob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
원치 않는 심상, 생각, 또는 충동을 자주 경험 합니까? 이러한 심상, 생각 또는 충동과 관련된 고통을 피하거나 줄이기 위해서 당신이 해야 한다고 느끼는 어떤 신체적 행동이 있습니까?
■☞ Yes 이러한 경험들로 인해 당신의 친구 또는 가족관계, 직장 또는 다른 환경에서 중요한 문제를 겪은 적이 있습니까?
→ ■Yes ☞ 강박장애 진단기준 진행
→ ▩no ☞ 신체에 집중된 반복적 행동 선별 질문 진행
1. 강박장애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 혹은 둘 다 존재하면, 다음의 증상들로 나타난다.
1) 강박 사고(둘 다의 질문으로 정의): 이러한 원치 않는 심상, 생각, 또는 충동을 경험할 때, 이것들로 인해 아주 불안하고 고통스럽습니까? 이러한 생각들을 무시하거나 억누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까?
2) 강박 행동(둘 다의 질문으로 정의): 어떤 사람들은 손 씻기나 문단속 확인 등과 같은 특정한 행동, 또는 숫자 세기, 기도하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와 같은 심리 내적인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침투적인 생각을 역전시키려고 노력합니다. 당신도 비슷한 것을 합니까? 그렇게 하는 것이 당신이 두려워하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해 주거나 당신의 고통을 줄여 준다고 생각합니까?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은 시간을 소모하게 하거나(하루에 한 시간 이상)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추가적 진단:
1) 침투적인 심상, 생각, 또는 충동이 자신의 신체상에 집중이 되어 있다면 '신체이형장애'고려
2) 실제 가치와는 상관없이 소지품과 분리되느 것을 지속적으로 어려워하면, '수집광'을 고려
2. 신체에 집중된 반복적 행동
DSM 5는 거의 동일한 진단기준의 2가지 상태, 발모광(털뽑기장애) 그리고 피부뜯기 장애를 포함한 각각의 진단은 다음 증상들 3가지 모두 요한다.
1) 행동: 탈모나 피부 병전을 일으킬 정도로 자주 털을 뽑거나 피부를 뜯습니까?
2) 변화를 위한 반복적 시도: 이러한 행동을 줄이거나 중단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시도했습니까?
3) 손상: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창피하거나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낍니까? 이러한 행동 때문에 직장이나 사회적 상황을 회피합니까?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 > 이상심리 및 정신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청소년의 우울 (0) | 2021.07.07 |
---|---|
방어기제와 예 (0) | 2019.11.26 |
DSM-5 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5: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특정 공포증, 공황장애,범불안 장애 (0) | 2019.10.22 |
DSM-5진단을 위한 선별 질문 4: 신경발달장애 ADHD (0) | 2019.10.21 |
DSM5 진단을 위한 선별질문 3:신경발달장애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0) | 2019.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