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rorder)
A. 주요우울일화, 조증일화, 또는 혼재성 일화 중 1가지가 연속적으로 지속되는 기간중,정신분열증의 기준 A에 부합되는 증상들이 일부 기간 동안 나타난다. |
B. 동일한 질병기간 중, 현저한 기분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적어도 2주 이상, 망상 또는 환각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
C. 기분 일화의 기준에 부합되는 증상들이 활성기와 잔류기의 *상당기간 동안 나타난다. |
D. 장해가 물질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간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
1)양극형(Bipolar type):조증 또는 혼재성 삽화를 보이는 경우
2)우울형(Depressed type): 주요우울삽화만 보이는 경우
*상당기간: ex) 4년 동안 정신분열증을 않고 있던 환자가 5주 동안 우울삽화를 보였다. 5주는 4년에 비해 짧은 기간이므로 정신분열병으로 진단, Nos우울장애 추가
전형적 패턴
정신분열증상 (환각, 피해망상) 2개월 |
정신분열증상+우울증증상 3개월 |
정신분열증상 1개월 |
특성
▶ 발병시기가 빠르고, 갑작스러운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급성적으로 시작되며, 심한 정서적 혼란을 나타낸다.
▶ 병전 적응상태가 양호하며, 정신분열증의 가족력이 없는 대신 기분장애의 가족력이 있고, 정신분열증에 비해 예후가 좋다.
분열정동장애 |
정신분열 |
-활성기 증상+기분삽화 동시에 나타나 기분증상이 전체 이환기의 상당기간 동안 지속됨 -현저한 기분증상없는 상태에서 망상, 환각이 2주정도 존재 -잔류증상이나 음성증상이 덜 심하고 덜 만성적이다. |
- 기분증상은 전체 *이환기에 비해 짧고, 전구기나 잔류기에만 나타나며 기분삽화의 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않는다. cf) 정신증적 증상이 기분장해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면, 진단은 정신증적 양상이 있는 기분 장애 |
*이환기: 활성기나 잔류기의 정신증적 증상이 계속 지속되는 기간
분열정동장애⇒ 정신분열병: 기분증상의 상대적 비중변화로 인해 정신증적 장채 첫 6개월 중 3개월 동안 현저한 우울삽화, 분열정동장애, 활동성증상 or 잔류증상만 몇 년동안 지속되고 기분삽화재발이 없는 경우 정신분열진단
유병률: 1% 이하로 정신분열증보다 드물고 정신분열증에 비해 여자에게 더 흔하다.
양극형은 초기성인기에 흔함, 우울형은 후기 성인기에 흔함
예후: 정신분열증 보다 양호 but 기분장애 보다 나쁨
정신분열형 장애(Schizophreniform Disorder)
A. 정신분열증 기준 A, D 및 E에 부합된다. |
B. 장애의 한 일화(전구기, 활성기, 그리고 잔류기포함) 적어도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동안 지속된다( 회복전에 진단해야 하는 경우, 잠정으로 명기되어야 한다.) |
진단 2가지 경우
1) 정신분열증의 증상이 나타내서 6개월 이전에 회복되는 경우
2) 현재 정신분열증의 증상이 지속되고 잇지만 정신분열증의 진단기준에서 요구되는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로 일단 진단-->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정신분열증으로 진단
특성
▶ 대부분 정서적 스트레스가 선행되고 급성적 발병을 나타낸다.
▶ 변전 적응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고 완전한 회복을 보인다.
정신분열형 |
정신분열증 |
-1개월 이하(전구기, 활성기, 잔류기 포함) -사회적 기능. 직업적 기능의 손상이 질병의 조건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
-1개월-6개월 이상 -사회적 직업적 손상요구 |
유병률: 평생0.2%, 연간 0.1%로 대개 정신분열증의 절반정도 추정, 청소년에게 흔함
정신분열형 장애 1/3->회복되어 정신분열형 장애로 최종진단. 2/3 정신분열증이나 분열정동장애로 진단
단기정신증적 장애(Brief Psychotic Disorder)
A. 다음 중 1가지(또는 그 이상)증상이 나타난다. 1)망상 2)환각 3)와해된 언어 4)전반적으로 와해되거나 긴장증적 행동 |
B. 장해의 일화가 적어도 1일 이상 1개월 미만이며, 병전의 기능수준으로 완전히 회복된다. |
C. 정신증 양상이 있는 기분장애, 분열정동장애 또는 정신분열증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물질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
특성
▶ 전형적으로 격렬한 감정적인 동요나 혼란을 경험
▶ 비록 증상이 짧은 기간 동안이지만, 이기간 동안 개인의 적응기능이 심하게 손상될 수 있고 잘못된 판단이나 망상으로 인해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보호와 감독이 필요하다.
▶ 자살의 위험이 높다(젊은 연령층)
▶ 심한 스트레스에 의해 급격히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미 있었던 성격장애(연극성, 자기애성, 편집성, 분열형 및 경계선 성격장애)가 있을 때 잘 발생한다.
망상장애(Delusional disorder)
S씨의 부인은 남편과 이혼하기로 결심했다. 대학교에 다니는 딸과 고등학교에 다니는 아들을 위해 남편의 학대를 감내하고 살아왔지만, 더 이상 참을 수가 없다. 딸과 아들이 앞장서서 부모의 이혼을 바라고 있다. S씨 부부는 중매로 만나 1년동안 교제를 하다가 결혼하게 되었으며 10년간은 큰 무리 없이 잘 살아왔다. 자녀들도 많이 상정했고, 경제적인 여유도 갖기 위해 S씨 부인은 5년전부터 보험사원으로 일을 시작했다. 그동안 집단 살림만 하던 S씨 부인은 사회적 활동을 하게 되어 삶에 활력을 얻는 듯했다. 사람을 대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화장도 신경써서 하고 옷도 차려입고 나가는 일이 많아 졌으며 여러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드물게는 저녁 늦게 귀가 하는 일도 있었으며 사원교육을 받기 위해 하루 이틀 집을 비우는 날도 생겼다. 열심히 노력한 결과, 경제적인 여유도 얻게 되었다. 그런데 부인의 사회적 활동에 동의했던 남편 S씨는 몇 달째 부인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었다. 부인이 사원들과 저녁회식을 하고 저녁늦게 돌아오던 날, S씨는 부인이 집에 들어서자마자 부인의 머리채를 감아쥐고 어떤 놈과 놀아났는지 말아라며 폭행을하기 시작했다. 그런 일이 없다고 주장하는 부인에게 S씨는 부인의 핸드폰에 입력되어 있는 연락처의 남자이름을 대가며 누구냐고 캐물었다. 부인은 회사의 직원이거나 직업상 만나는 사람이라고 했지만 S씨는 믿지 않았다. 그 후로 S씨는 부인을 의심하기 시작했고 몰래 핸드폰을 뒤지고 전화태역을 확인하려 했으며 때로는 보험사 근처에서 부인을 미행하기도 했다. 자신만 떳떳하면 남편의 의심도 가라앉으리라 생각한 부인은 한창 실적이 오르고 있던 보험사 일을 계속했다. 그러나 부인이 자신을 교묘하게 속이며 바람을 피우고 있다는 확신을 하고 있는 의심은 계속되었고(A:기괴하지 않은 망상) 종종 폭행으로 이어지곤 했고다. 남편은 회사일도 잘하고 있는 듯 했고, 동료들 사이에서는 꼼꼼하지만 원만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C.행동이 기괴하거나 현저한 기능손상 없음) 마침내 부인은 남편의 의심을 가라앉히기 위해 보험사를 일을 그만두었다. 그러나 남편의 의심은 끝이 없었다... |
DSM-4 축1: 망상장애 ,축2: 없음(편집성 성격장애 가능성 있음), 축3: 없음, 축4: 없음, 축5: 60-51(이혼 위기but 회사일이나 대인관계 원만)
A. 적어도 1개월 동안 기괴하지 않은 망상이 타나난다. |
B. 정신분열증의 기준 A,D,F 부합된 적이 없다. (확촉이나 환미가 망상 주제와 관련된 경우, 망상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다) |
C. 망상의 영향이나 파급효과를 제외하고는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된 상태가 아니고, 행동이 눈에 띄게 이상하거나 기괴하지 않다. |
D. 기분일화들이 망상을 동반하여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기분일화의 기간이 망상기간에 비해 짧다. |
E. 장해가 물질 또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
망상의 내용에 따라
1) 애정형(Erotomanic Type):보통 높은 지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는 망상
2) 과대형(Grandiose Type):팽창된 가치, 힘 , 지식, 정체감 또는 신적 존재나 유명인과의 특별한 관계에 관한 망상
3) 질투형(Jealous Type): 자신의 성적 파트너가 부정하다는 망상
4) 피해형(Persecutory Type):자신이(또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이) 악의적으로 대우받고 잇다는 망상
5) 신체형(Somatic Type): 자신이 신체적 결함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가 있다는 망상
6) 혼합형(Mixed Type):위의 종류 중 2가지 이상 혼합되어 경우
7) 불특정형(Unspecified Type):망상의 내용이 불명확하거나 특정한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경우
유병률: 평생 유병률0.3% 주로 성인기 중·에 시작되며 피해형이 가장 많다
분열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친밀한 인간관계를 불편해 하고 인지적 또는 지각적 왜곡과 더불어 기이한 행동을 나타내는 성격장애
▶ 정신분열 스펙트럼장애 &성격장애 동시에 속하는 장애
약화된 정신증 증후군(Attenuated Psychosis Syndrome): 정신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증상의 심각도가 덜하고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를 말한다. 정신분열증의 주된 증상이 만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중 한 개 이상의 증상이 약화된 상태로 나타나고 현실검증력이 양호하지만 임상적 주의를 기울여야 할 만큼 증상의 심각도나 빈도가 충분한 경우
▶ 정신분열증으로 발전 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DSM-5에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장애로 소개함
출처: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저(학지사)
'상담심리 이론 및 기법공유 > 이상심리 및 정신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정신병리: 품행장애-품행장애는 무엇인가?(적대적 반항 장애) (0) | 2019.10.16 |
---|---|
발달정신병리: ADHD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장애 (0) | 2019.10.15 |
발달정신병리: ADHD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진단과 특성)- ADHD에도 하위 유형이 있다. (0) | 2019.10.14 |
DSM-5 정신분열 스펙트럼장애 1: 조현병(정신분열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19.10.12 |
DSM-5 와 DSM-4의 비교: DSM-5 변화 (0) | 2019.10.11 |